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여에스더 고백, 약물 요법 효과 없는 난치성 우울증

by amigoeterno 2025. 1. 12.

우울한 기분이 지속되거나 심각한 우울 상태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감정이 누적되면 자살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최근 방송된 KBS 2TV '박원숙의 같이 삽시다'에서 의학박사 여에스더가 심한 우울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고백하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여에스더가 앓고 있는 난치성 우울 장애는 생명과 직결된 심각한 문제로 인식해야 합니다. 그녀의 이야기를 통해 난치성 우울증의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난치성 우울증 정의

 

난치성 우울증은 치료가 어려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초반에는 치료 반응이 나타날 수 있지만 재방문할수록 약물 사용 기간이 길어지고 약물의 종류도 다양해져 치료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여에스더는 "약을 먹어도 30~40%는 치료가 안된다"라고 언급하며, 이는 많은 분들이 경험하는 고통을 잘 보여줍니다. 우울증은 단순히 기분이 나쁘거나 슬픈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질병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난치성-우울증
난치성 우울증

 

치료방법

 

 

1.  전기 경련 치료(ECT)

 

여에스더는 전기 경련 치료(ECT)를 통해 치료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ECT는 심각한 우울증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로 뇌에 전기적 자극을 주어 기분을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은 전신마취가 필요하고, 여러 번의 치료가 요구됩니다. 여에스더는 총 28번의 전신 마취를 받았다고 하니, 그 과정의 고통스러움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단, 전기경련치료 부작용으로 '단기기억상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거의 대부분은 회복가능하므로 전기 경련 치료가 꼭 필요하다면 부작용보다 치료의 이점이 더 크기 때문에 고려해야 합니다.

 

2. 전화 상담

 

여에스더는 자살 예방 상담 전화( ☎️ 109)를 통해 상담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녀는 "예상보다 잘 교육받은 상담사가 많았다"며  익명성 덕분에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상담은 우울증 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3. 가족의 이해와 지지

 

가족의 이해와 지지가 우울증 환자에게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환자가 힘들어할 때, 주변에서는 그들의 감정을 존중하고 지지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의학박사 여에스더의 사례는 난치성 우울증이 단순한 기분의 문제를 넘어 심각한 질병임을 잘 보여줍니다. 치료와 상담, 가족의 지지가 함께 어우러져야만 회복의 길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질병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결코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우울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삶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선택입니다. 

 

 

반응형